Leviticus 5
1 [면죄제는 이렇게 드려라] 다음 네 가지 경우에는 허물을 덮어 달라는 뜻으로 여호와께 면죄제물을 바쳐야 한다. 누구든지 법정에 증인으로 서 달라는 요청을 받고도 자기가 본 것이나 들은 내용을 성실하게 증언하지 않을 경우에는 죄를 짓는 것이므로 그 허물을 벗어야 한다.
2 누구든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부정한 것을 만졌을 경우 곧 들짐승이나 집짐승이나 길짐승의 시체를 만졌을 경우에는 부정을 탄 것이므로 그 허물을 벗어야 한다.
3 누구든지 자기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사람의 부정한 곳에 손이 닿았을 때에는 부정을 탄 것이므로 그 사실을 깨닫는 즉시 그 허물을 벗어야 한다.
4 누구든지 나쁜 일이든 좋은 일이든 함부로 입을 놀려 맹세를 하였을 경우에는 자기의 맹세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런데 그가 맹세를 지키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을 때에는 당연히 그 허물을 벗어야만 한다.
5 이 네 가지 경우 중에서 어느 것 하나에라도 해당되었을 때에는 그 사람은 반드시 잘못을 고백해야 한다.
6 그런 다음에 그 허물을 벗기 위하여 여호와께 면죄제물을 바쳐야 한다. 면죄제물로 암양이나 암염소를 드리면 제사장은 그것으로 그 사람의 허물을 씻어 달라고 여호와께 제사를 올려야 한다. 그러면 그의 허물이 벗기어질 것이다.
7 양이나 염소를 바칠 힘이 없는 사람은 허물을 벗기 위한 제물로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두 마리를 바쳐야 한다. 이 가운데에서 한 마리는 속죄제물로, 다른 한 마리는 번제물로 바쳐야 한다.
8 이 제물을 제사장에게 갖다 바치면 제사장은 먼저 속죄제물을 여호와께 바쳐야 한다. 제사장은 그 새의 목을 부러뜨리되 완전히 끊어 내서는 안 된다.
9 그런 다음 제사장은 그 새의 피를 번제단의 옆면에 뿌리고 나머지는 번제단 밑바닥에 쏟아야 한다. 이것은 속죄제이다.
10 두번째 비둘기는 규정에 따라서 번제로 바쳐야 한다. 이렇게 제사장이 제물을 바치면 그 사람의 허물이 가리어질 것이다.
11 가난하여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두 마리조차도 바칠 힘이 없는 사람은 고운 밀가루 2.2리터를 속죄제물로 갖다 바쳐야 한다. 고운 밀가루를 바칠 때에는 이 제물이 속죄제물이므로 기름을 부어서 바치거나 향을 얹어서 바쳐서는 안 된다.
12 그가 제사장에게 그 제물은 갖다 바치면 제사장은 제물을 온전히 여호와께 드린다는 표시로 한움큼을 집어내라. 그리고 집어낸 제물을 제단 위에 올려놓고 불살라 여호와께 바쳐라. 이것이 속죄제이다.
13 앞서 말한 몇 가지 잘못 중에 어느 하나에라도 걸린 사람은 제사장이 이렇게 허물을 씻어 달라고 하면 여호와께서 그 사람의 허물을 씻어 주실 것이다. 불살라 바치고 남은 속죄제물은 곡식제물과 마찬가지로 모두 제사장의 몫으로 돌려야 한다.'
14 [면죄제물 규정]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15 `누구든지 여호와께 무엇이든 바칠 때 실수로 잘못 바쳤을 경우, 그 허물을 씻어 내기 위하여 제물을 바쳐야 한다. 이것이 면죄제물이다. 이 제물로는 아무런 흠이 없는 숫양이나 숫염소를 바쳐야 한다. 이 숫양이나 숫염소가 성소에서 사용하는 세겔로 몇 세겔 값어치가 나가는 것이어야 하는지는 네가 결정해 주어라.
16 이렇게 실수로 여호와께 잘못을 한 사람이 숫양이나 숫염소를 여호와께 갖다바칠 경우에는 그 제물 값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더 얹어서 제사장에게 드려야 한다. 제사장이 절차에 따라 그가 바친 숫양이나 숫염소를 여호와께 드리면 그의 허물이 벗겨질 것이다.
17 여호와께서 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셨는데 그 가운데에서 하나라도 실수로 어긴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당연히 그 허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18 그 사람은 자기 허물을 벗겨 달라는 뜻으로 아무런 흠이 없는 숫양이나 숫염소를 가축 떼 가운데에서 골라 바쳐야 한다. 이 제물은 그가 범한 잘못에 해당하는 값어치가 나가야 한다. 제사장이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잘못한 그 사람의 허물을 씻어 내려고 여호와께 제물을 바치면 그 사람은 허물을 덮을 수 있다.
19 이렇게 하는 것이 허물을 씻어 내는 절차이다. 여호와께 허물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이렇게 허물을 씻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