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

Simplify

Your Church Tech & Streamline Your Worship

Try RisenMedia.io Today!

Click Here

Esther 9

:
Korean - KRB
1 아달월(月) 십이월(十二月) 십삼일(十三日)은 왕(王)의 조명(照明)을 행(行)하게 날이라 유다인(人)의 대적(對敵)이 저희를 제어(制馭)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人)이 도리어 자기(自己)를 미워하는 자(者)를 제어(制馭)하게 날에
2 유다인(人)들이 아하수에로 왕(王)의 각(各) 도(道), 각(各) 읍(邑)에 모여 자기(自己)를 해(害)하고자 하는 자(者)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民族)이 저희를 두려워하여 능(能)히 막을 자(者)가 없고
3 각(各) 도(道) 모든 관원(官員)과 대신(大臣)과 방백(方伯)과 왕(王)의 사무(事務)를 보는 자(者)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유다인(人)을 도우니
4 모르드개가 왕궁(王宮)에서 존귀(尊貴)하여 점점(漸漸) 창대(昌大)하매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名聲)이 각(各) 도(道)에 퍼지더라
5 유다인(人)이 칼로 모든 대적(對敵)을 쳐서 도륙(屠戮)하고 진멸(殄滅)하고 자기(自己)를 미워하는 자(者)에게 마음대로 행(行)하고
6 유다인(人)이 도성(都城) 수산에서 오백인(五百人)을 죽이고 멸(滅)하고
7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10 함므다다의 손자(孫子)요 유다인(人)의 대적(對敵) 하만의 아들을 죽였으나 재산(財産)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1 날에 도성(都城) 수산에서 도륙(屠戮)한 자(者)의 수효(數爻)를 왕(王)께 고(告)하니
12 왕(王)이 왕후(王后)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人)이 도성(都城) 수산에서 이미 오백(五百) 인을 죽이고 멸(滅)하고 하만의 아들을 죽였으니 왕(王)의 다른 도에서는 어떠하였겠느뇨 이제 그대의 소청(所請)이 무엇이뇨 허락(許諾)하겠노라 그대의 요구(要求)가 무엇이뇨 또한 시행(施行)하겠노라
13 에스더가 가로되 왕(王)이 만일(萬一) 선(善)히 여기시거든 수산에 거(居)하는 유다인(人)으로 내일(來日)도 오늘날 조서(詔書)대로 행(行)하게 하시고 하만의 아들의 시체(屍體)를 나무에 달게 하소서
14 왕(王)이 그대로 행(行)하기를 허락(許諾)하고 조서(詔書)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아들의 시체(屍體)가 달리니라
15 아달월 십사일(十四日)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人)이 모여 삼백(三百) 인을 수산에서 도륙(屠戮)하되 재산(財産)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16 왕(王)의 각(各) 도(道)에 있는 다른 유다인(人)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生命)을 보호(保護)하여 대적(對敵)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自己)를 미워하는 자(者) 칠만(七萬) 오천인(五千人)을 도륙(屠戮)하되 재산(財産)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7 아달월(月) 십삼일(十三日)에 일을 행(行)하였고 십사일(十四日)에 쉬며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18 수산에 거(居)한 유다인(人)은 십삼일(十三日)과 십사일(十四日)에 모였고 십오일(十五日)에 쉬며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19 그러므로 촌촌(忖忖)의 유다인(人) 성(城)이 없는 고을 고을에 거(居)하는 자(者)들이 아달월(月) 십사일(十四日)로 경절을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禮物)을 주더라
20 모르드개가 일을 기록(記錄)하고 아하수에로 왕(王)의 각(各) 도(道)에 있는 모든 유다인(人)에게 무론(無論) 원근(遠近)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 규례(規例)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月) 십사일(十四日)과 십오일(十五日)을 지키라
22 날에 유다인(人)이 대적(對敵)에게서 벗어나서 평안(平安)함을 얻어 슬픔이 변(變)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哀痛)이 변(變)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禮物)을 주며 가난한 자(者)를 구제(救濟)하라 하매
23 유다인(人)이 자기(自己)들의 이미 시작(始作)한 대로 또는 모르드개의 보낸 글대로 계속(繼續)하여 행(行)하였으니
24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人)의 대적(對敵) 하만이 유다인(人)을 진멸(殄滅)하기를 꾀하고 부르 제비를 뽑아 저희를 죽이고 멸(滅)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王)의 앞에 나아감을 인(因)하여 왕(王)이 조서(詔書)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人)을 해(害)하려던 악(惡)한 꾀를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좇아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人)이 글의 모든 말과 일에 보고 당(當)한 것을 인(因)하여
27 뜻을 정(定)하고 자기(自己)와 자손(子孫)과 자기(自己)와 화합(和合)한 자(者)들이 해마다 기록(記錄)한 정기(定期)에 날을 연하여 지켜 폐(廢)하지 아니하기로 작정(作定)하고
28 각(各) 도(道), 각(各) 읍(邑), 각(各) 집에서 대대(代代)로 날을 기념(記念)하여 지키되 부림일을 유다인(人) 중(中)에서 폐(廢)하지 않게 하고 자손(子孫) 중(中)에서도 기념(記念)함이 폐(廢)하지 않게 하였더라
29 아비하일의 왕후(王后) 에스더와 유다인(人) 모르드개가 전권(全權)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둘째 편지(便紙)를 굳이 지키게 하되
30 화평(和平)하고 진실(眞實)한 말로 편지(便紙)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일백(一百) 이십(二十) 칠도(七道)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 정(定)한 기한(期限)에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人) 모르드개와 왕후(王后) 에스더의 명(命)한 바와 유다인(人)이 금식(禁食)하며 부르짖은 것을 인(因)하여 자기(自己)와 자기(自己) 자손(子孫)을 위(爲)하여 정(定)한 바가 있음이더라
32 에스더의 명령(命令)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堅固)히 하였고 일이 책(冊)에 기록(記錄)되었더라